재테크에 관심이 많은 저입니다.
근데 요즘 금시세가 미친듯이 오르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 금시세를 어디서 볼 수 있냐?
한국금거래소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금시세가 그래프로 표현된 것을 퍼왔습니다.

위의 그래프만 봐도 금값이 어마어마하게 오른걸 볼 수 있습니다.
2021년초에는금값이 대략 27~28만원정도였는데(3.75g 기준) 2025년에는 같은 기준이 50만원이 됩니다.
5년만에 2배가 오른겁니다. 5년간의 수익률이 거의 100%라고 할 수 있겠네요.
위의 그래프를 직접 보고싶으시면, 다음카카오 검색창에 '한국금거래소'라고 치시면 하나의 사이트가 나오는데 거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 왜 비싼거야?

근데.. 이런 금.. 도대체 왜 이렇게 비싼걸까요?
귀금속에 대한 인간의 끝없는 욕망, 이러 욕망에 비례하지 못하는 적은양의 금.
이 두가지 이유가 매우 비싼 금시세를 형성하고 있다고 합니다.
물론 위의 두가지 이유외에도 과학적으로 쓰인다고 합니다. 뉴스를 많이 찾아보았는데요.
복잡하니 길게 설명할거 없고,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금을 나노입자로 만들어서 전립선암 판별, 독소 측정등에 쓰인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 일상생활에서는 금니로도 쓰이고 있죠.
귀하지만 일상생활과 과학적으로, 한편으로 욕망적으로 쓰이고 있는 금입니다.
금값 전망. 금은 사놓는게 좋을까? 투자하는게 좋을까? 금투자가 답이야?

이렇게 소중하고 귀한 금. 앞으로는 시세가 어떻게 될까요?
열이면 열 모든 전문가가 금값은 앞으로 꾸준히 우상향 할거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우상향 할거라고 예상하는 금, 무조건 사는게 좋을까요?
전문가들은 투자방식에 따라 금을 사라고 조언합니다.
한번 저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거지라서 돈이 별로 없는 제가 2021년부터 재테크에 눈을 떠서 금을 샀다고 가정해봅시다. 딱 100만원어치 샀다고 가정할게요.
2021년 1월 2일 금시세는 268,000원이었습니다(3.75g기준) 이걸 100만원어치 사면 약 14g을 샀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25년 1월 2일 금은 531,000원입니다. 14g을 환산하면 1982,400원이 됩니다! 와우 무려 2배가 올랐습니다 수익률이 100%네요!
한편으로는 100만원을 예금만 들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현재 국민은행에서 팔고 있는 KB Star 정기예금 상품이 연이자 2.5%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이자를 바탕으로 2021년부터 2025년까지 투자했다면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요?
참고로 계산방식은 매년말에 이자와 함께 원금을 돌려받으면 원금+이자를 그대로 다시 1년짜리 정기예금을 들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단리 기준, 년이자 2.5%로 계산을 해보았더니
2025년 1월에 얼마를 돌려받는지 봤는데 1,087,322원을 돌려받게 되었습니다. 일반과세 기준이라서 세금떼는게 은근 있다보니 생각보다 더 적게 나왔습니다.
이자수익 87,322원 ㅡ.ㅡ ;; 100만원을 4년간 묵히면 저거밖에 안됩니다 여러분..
저도 이런 결과를 보니 정기예금, 정기적금을 무조건 신봉할게 아니라는 생각이 팍 드는데요??!
이번 계산을 통해서 얻은 결론은 금투자가 답이 아니라 큰돈을 벌려면 정기예금, 정기적금으로는 답이 없다는 게 결론입니다!
금시세를 볼때..근데 금을 얘기할때 나오는 단위 '돈'은 뭐야? 그외 단위등
여기서 하나 또 궁금한게 금시세, 금값전망을 다루는 뉴스기사에서 등장하는 단위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돈'이라는 단위인데요. 그것을 알아보았습니다.
먼저 금을 얘기할때는 단위가 통상적으로 g으로 얘기됩니다. 그람입니다.
금은 1g에 161,990원입니다. 그렇다면 '돈'은 뭐냐? 네 돈은 위에서 언급한 3.75g 이것을 돈이라고 합니다.
즉 금 1돈이 3.75g입니다. 현재 금1돈은 시세가 607,462원입니다.
그렇다면 영화같은데서 많이 나오는 골드바, 이것의 무게는 어떻게 될까요?
골드바는 하나의 종류로 정해져서 무게가 딱 나오는건 아니구요.
종류에 따라 500g, 200g, 100g 짜리가 있습니다. 여기서 온스라는 단위가 나오는데 금에 대해 얘기할때 '돈'에 못지 않게 자주 나오는 단위입니다.
참고로 1온스당 28.34g입니다. 휴...제가 살면서 골드바를 갖게 될 일이 있을지... 너무도 탐나네요.
금값, 무조건 오르나? 하락한적은 없었나? 금시세하락?
현재 금은, 자기이름(금값)을 뛰어넘었다고 소리가 나올정도로 엄청나게 비싼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재테크 수단으로 보면 불패로 보이는 금. 무조건 오를까?
그렇지는 않다. 금도 가격이 하락한적이 있었다.
1980~2000년 사이 금시세는 무려 70%나 하락했다고 한다. 이렇게 금값이 하락한 이유는 실질금리가 상승했기때문이라고 하는데, 금리가 상승하면 은행이자가 높기때문에 사람들은 은행에 많은 돈을 예금을 한다.
금리가 높아진다는 것은 화폐가치가 높아지는 것이므로, 금리가 높아진다면 금값은 하락하게 된다.
반대로 금리가 낮아지면, 은행투자로 재미를 보기가 힘들어진다. 화폐가치가 낮아진다. 이렇게 화폐가치가 낮아지면 실물자산 가치가 높아지는데, 바로 금값이 오르게 되는 것이다.
현재 미국과 우리나라는, 기준금리 인하에 많은 무게를 두고 있고 전문가들도 금리 인하가 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물론 한편으로 우리나라는 금리를 낮추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음!)
금리만 보면 금값은 상승할 것 같고, 많은 전문가들도 이와 같이 예측을 하고있다.

금에 대해 포스팅 하면서,
금은 떨어지는 원화가치에 대비할 수 있는 좋은상품이고,
그리고 금은 전세계적으로 인기가 많다. 인간이라면 금을 싫어하지 않는다.
그러나 원화는 대한민국이 망하면 휴지조각이 된다. 그러나 금은 대한민국이 망한다고 해서 돌덩이가 되는것이 아니다.
이렇게 꾸준히 우상향 할것이라는 전망이 있고, 매력적인 금이기에 직접 투자를 하려고 했다.
내가 자주 이용하는 kb스타뱅킹을 이용하면 금을 구매할 수 있었다.
그래서 금을 구매하려고 딱! 하는 순간!!
저는 투자를 못한다네요.. 이거 다시 조사해서 바꿔야 할것 같아요 ㅎㅎ
다음에는 금투자를 실제로 한 포스팅을 갖고오도록 약속드리면서 이상 포스팅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부족한 글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모두 부자되세요!!
아래는 함께 보면 좋은 글
만보기 앱테크 추천 [국민은행 kb스타뱅킹, 비트버니 (6월15일 퀴즈정답), 토스] 직접 해본 후기
바쁜 현대인에게 운동은 필수입니다. 하지만 운동도 막상하려고 하면 뭘 해야할지 어렵습니다. 그럴때는 걷기운동이 가장 좋습니다. 제가 예전부터 만보기를 꾸준히 이용해왔다는 걸 알 수 있
bokdori8024.tistory.com
예금 vs 적금, 예금과 적금의 차이는?
저는 최근에 예금 상품을 하나 들었습니다. kb국민은행에서 1만원짜리 쿠폰을 하나 줘서 가입했는데요 누워서 돈벌기. 국민은행 앱테크. 유용하게 이용중(KB스타뱅킹)땅파서 1원 한장 안나오는
bokdori8024.tistory.com
화이자 배당금이 나왔습니다(per이 뭔가요? 화이자 주가를 통해 알아봄)
화이자 배당금이 나왔습니다. 얼마가 나왔을까요? 바로 인증박고 시작합니다. 6.43달러가 나왔습니다. 글쓰는 현재 시점으로 8,944원입니다. 국밥 한그릇도 못먹네요... 그래도 꽁돈이 나오는데 이
bokdori8024.tistory.com
'잡다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축제탐방. 양재천 벚꽃 등 燈 축제에 가보고 싶네요. (0) | 2025.04.19 |
---|---|
슈크림 폭탄에 빠져보자...슈크림 말차라떼 먹으러 가야지(슈크림 말차라떼 가격, 칼로리) (0) | 2025.03.01 |
요즘 유행하는 밈 공부(chill guy, 칠가이, 딥시크) (1) | 2025.02.10 |
해외여행 관광객수, 해외여행 순위, 해외 한국인 관광객 순위 (1) | 2025.01.29 |
경제신문 읽기 위한 공부 (시장금리란?) (1) | 2025.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