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다한 이야기101 국어공부시간 (다행히/다행이) 국어 맞춤법 틀리면 진짜 창피하지 숨고싶을 정도로ㅎ 몇년전에는 낳다/낫다 구분 못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지금은 웃기려고 일부러 낳다라고 쓰는 사람 빼고는 틀리는 사람은 못 봄 그리고 나도 헷갈리는 것중에 하나가 부사로 쓰는 다행히/다행이인데 '다행이다'라는 말에 익숙해서 그런지 부사도 '다행이'가 맞을 것 같은데 '다행히'가 맞춤법에 맞음. 그렇다고 다행이도 틀린건 아님. 나는 다행히 살았다 나는 살아있는 게 다행이다. 여기서 다행이다도 형용사로 쓰여서 맞게 됨. 이적의 참 다행이다는 형용사로만 쓰이고 부사처럼 다행이 살았다 이렇게는 안되고 형용사로 쓰여서 살아서 다행이다 이렇게 ㅇㅋ? 꼼꼼히/꼼꼼이의 경우는 또 꼼꼼히가 맞다 이/히 부사는 정말 어려움 근데 이런걸 알려면 먼저 단어의 품사를 알고봐야 이해.. 2022. 4. 26. 계속 해서 늘어나는 '롱코비드' 환자... 기침이 계속 지속 된다면? 안 걸린 사람을 더 찾기 힘든 질병이 된 '코로나 오미크론' 여러번 언급했지만 사실 나도 코로나 확진자였음. 지금은 완치(?)된지 1개월은 지났다. 근데 자가격리가 해제되고도 잔기침이 계속 나오고 눈물, 콧물이 계속 나와서 코로나가 완치된게 아닐것 같다는 두려움(주변사람들에게 폐 끼칠까봐)에 눈치 엄청 보고 살았음. 나처럼 오미크론의 대확산으로 코론나 확진자가 엄청나게 늘어나면서 완치 후에도 장기간 코로나 일부 증상이 계속돼서 불편함을 상담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하는데 이른바 롱코비드(Long COVID-19)라 불리는 코로나 오미크론 장기 후유증이라고 한다. 롱코비드 증상은 두통, 후각 저하, 탈모까지 다양하다고 하는데 탈모는 진짜 끔찍한듯... 코로나 롱코비드의 원인은? 의사랑 전문가도 모른대요. .. 2022. 4. 23. 주가 폭락 넷플릭스. 허리띠 졸라 멘다. 요즘 OTT라는 단어가 많이 쓰인다. OTT란 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는 TV서비스를 일컫는다. 예를 들면 누구나 아는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왓챠 이런거? 나는 이중에서 넷플릭스를 회원가입한 상태고 왓챠 가입할까 고민중임. 넷플릭스는 너무 유명해서, OTT의 대명사가 넷플릭스로 쓰이는 거 같아서 가입했고 왓챠는 내가 지금 제일 보고싶어하는 좋좋소 시리즈와 귀멸의칼날 시즌2 유곽편을 방영하고 있기 때문. 넷플릭스 주가가 무려 35%나 폭락했다. 자고 일어나보니 내가 투자한 자산이 35%, 거의 절반이 날라갔다면 어떤 기분일까? 지금 넷플릭스가 그렇다. 시작글에서도 은근히 말했지만 넷플릭스에서는 지금 볼 게 없음. 가장 보고싶은게 딱 2개 좋좋소랑 귀멸의칼날 유곽편인데 넷플릭스에서는 전부 서비스를 안하.. 2022. 4. 22. 희망저축계좌에 대해서 알아봤음 청년희망적금에 이어 요즘에는 희망저축계좌가 핫함. 청년희망적금은 나이랑 소득을 봤는데 나는 연소득이 3600을 넘어 가입을 못했었음ㅜㅜ 그래서 희망저축계좌에 관심이 가게 됐는데 조건을 알아보니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지원하는거라서 나는 가입조건이 안될 듯 하다. 희망저축계좌로 검색해보면 지자체별로 홍보를 하던데 보고 든 생각이 지자체별로 가입조건이랑 지원이 다른가? 하고 몇개 찾아봤음 근데 다 똑같았다 결국 그냥 지자체별로 홍보성으로 뉴스를 쓴듯ㅎ 대충 알아보니 아래와 같다. 희망저축계좌 1 가입대상 중위소득 40% 이하인 생계 의료 수급가구 가구원 중 근로활동을 하는 구성원이 있어야 함 가구전체의 총 근로사업소득이 40%의 60%이상이어야 함 매달 10만원 이상 저축하고 3년이내에 생계 의료급여를 탈수급하.. 2022. 4. 13.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반응형
최근댓글